닫기

-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닫기

학술지 검색

홈으로 학술지 학술지 검색

pISSN: 2093-6095

성인계속교육연구, Vol.11 no.3 (2020)
pp.61~86

DOI : 10.20512/kjace.2020.11.3.61

- The Influence of Perceived College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on Tertiary Students’ Subsequent Job Satisfaction -

HwaChoon, Park

(KRIVET)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eived college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on the subsequent job satisfaction of tertiary students after they transition from college to work. A total of 8,748 respondents from the 2017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6GOMS) provided usable data.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extract the desirable common factor model of each latent variable: perceived college support, career adap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and the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employed by testing the path coefficients between latent variables of the hypothesized model.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model fitted the data well; that perceived college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adap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that career adaptabili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that women showed higher effects of perceived college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than men. The results imply that female students are more influenced by college support and make more efforts to enter the contemporary Korean labor market but less satisfied with their jobs than male students.
  대학생,진로 준비,진로 적응력,진로 교육 프로그램,직업 만족

대학생이 인식하는 대학의 지지와 진로 적응력이 졸업 후 직업 만족에 미치는 영향

HwaChoon, Park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의 학생이 졸업하여 직장으로 이동한 후 대학에서의 진로 및 취업 준비 지원에 대한 인지 정도가 진로 적응력과 직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2017년 9월 1일의 조사에 응답한 18,199명 중, 본연구의 목적에 부합한 4년제 대학졸업자를 중심으로 총 8,748명을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각각의 연구 변인의 바람직한 요인을 추출하기 위하여 각 변수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으 로 추출된 각 변수의 요인을 적용하여 인지된 대학 지원, 진로 적응력, 직업 만족도의 세 가지 가설의 잠재 변수 간 경로계수를 구조방정식(SE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정한 세 변수 간의 모델은 데이터에 잘 부합하였다. 인지된 진로 및 취업 준비에 대한 대학 지원은 진로 적응력과 직업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경력 적응력 또한 직업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성은 남성보다 직업 적응력과 직업 만족도에 대 한 인식된 대학 지원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학생이 진로 및 취업 지원 에 대한 대학의 지원에 더 많은 영향을 받고, 노동시장에서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만 남 학생보다 직업에 대해서는 덜 만족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ertiary students,career preparation,career adaptability,career education programs,job satisfaction

다운로드 (Download) 리스트(List)